본문 바로가기

처벌5

직장내 괴롭힘 신고방법, 처벌 어떻게 하나? 직장내 괴롭힘 신고방법, 처벌 어떻게 하나? 그럼 괴롭힘의 기준을 살펴보자 "직장내 괴롭힘 기준 살펴보기" 괴롭힘 기준 1,신체, 정신적 고통 2.부당한 지시 3.차별대우 4. 불이익주기 5. 우위를 이용한 행위 직장내 괴롭힘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살펴보면 5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직장 괴롭힘으로 볼 수 있는 5가지 1.신체적 폭행, 정신적 협박(욕설, 언어폭력, 모욕등 포함) 2.업무상 적정범위를 넘는 부당한 업무지시, 개인 심부름 3.왕따,업무배제,차별대우 4.정당한 이유없이 불이익주기, 실적가로채기 5.직장에서 지위, 관계 등 우위를 이용한 행위 괴롭힘 인정사례는? 이것도 직장인 괴롭힘일수 있다 "오래된 영화 모른다며 무식하네", "책상이 지져분 한것을 보면서 '방도 더러워? 부모님이 치워줘?.. 2023. 10. 27.
스토킹 처벌법 개정 합의하더라도..... " 스토킹 처벌법 개정 합의하더라도...." 집착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어떤 것에 대해 지속적으로 얽매여, 계옷갷서 마음이 쓰이는것을 의미합니다. 사람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집착도 피룡하다고 하는데요. 문제는 이 집착의 대상이 사람이 된다면 이는 형사법에 저촉되어 스토킹처벌법에 의해 처벌될 수 있는 범죄가 된다는 점입니다. "싫다는 의사를 표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따라다닌다거나, 집착하는 행위는 처벌이 될수 있는것으로 과거에는 실질적인 접촉 등의 범죄가 발생하기전에는 선처해 주는 경우가 많았지만, 지금은 지속적인 스토킹 처벌법 개정을 통해 처벌 수위를 높이고 있는 상항입니다. 과거에는 스토커로 인정되는 경우 경범죄로 처벌이 되어 10만원의 벌금을 내는 것에 그쳤지만, 지금은 실형이 선.. 2023. 10. 10.
성범죄자 신상정보 등록 성범죄자 신상정보 등록제도란? 등록대상 성범죄로 유죄판결이 확정된 사람의 신상정보를 등록, 관리하여 성범죄 예방및 수사에 활용하는 제도 관련법령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42조부터 제50조등록기간선고형을 기준으로 10년 초과의 징역·금고형은 30년, 3년 초과 10년 이하의 징역·금고형은 20년, 3년 이하의 징역·금고형은 15년, 벌금형은 10년 등록정보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및 실제거주지, 직업 및 직장 등의 소재지, 연락처, 신체정보(키와 몸무게), 소유 차량의 등록번호, 출입국 사실, 등록대상 성범죄 경력 정보, 성범죄 전과 사실, 전자장치 부착 여부 등록대상자 의무 사항판결 확정일로부터 30일 이내, 변경정보 발생시 20일 이내 제출6개월 이상 국외 체류시 출·입국 신고, 매년 경.. 2023. 7. 17.
스토킹 처벌법 스토킹범죄의 처벌 및 그 절차에 관한 특례와 스토킹범죄 피해자에 대한 보호절차를 규정한 법. 원명칭은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다. 1999년 처음 발의된 이후 20년 넘게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다가 2021년 3월 마침내 국회를 통과해 2021년 10월 21일 시행됐다. 이법은 `스토킹행위'를 상대방의 의사에 반(反)하여 정당한 이유 없이 상대방 또는 그의 동거인, 가족에 대하여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여 상대방에게 불안감 또는 공포심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스토킹처벌법에 따르면 스토킹범죄를 저지른 사람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또한 흉기 또는 그 밖의 위험한 물건을 휴대하거나 이용하여 스토킹범죄를 저지른 사람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23. 7.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