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적장애91

장애인 온라인 직업심리검사 온라인 직업 심리검사는 개인의 성격, 흥미 등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여 진로 탐색의 기회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https://www.gov.kr/portal/service/serviceInfo/PTR000050030 https://hub.kead.or.kr/ 장애인직업능력평가포털 hub.kead.or.kr 지원내용 ○ 온라인 직업심리검사 - 온라인 직업심리검사는 오프라인(면대 면) 형태로만 실시하던 검사를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활용할 수 있도록 온라인 형태로 구현한 검사입니다. - 공단에서 개발한 직업심리검사 중 구직자 스스로 검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 8종을 온라인화하였습니다. - 각 검사의 설명을 보시고, 본인에게 도움이 될만한 검사를 선택하여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검사의 .. 2023. 7. 26.
장애인학대란? 정의 장애인복지법 제2조 제3항에서는 장애인학대를 ‘장애인에 대하여 신체적·정신적·정서적·언어적·성적 폭력이나 가혹행위, 경제적 착취, 유기 또는 방임을 하는 것’이라고 규정한다. 유형 장애인학대는 내용과 방식에 따라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성적 학대, 경제적 착취, 유기·방임으로 나누고 있다. 그러나 실제 사례를 보면, 여러 유형의 학대가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신체적학대 신체적 학대는 장애인의 신체에 손상을 입히거나 고통을 주는 행위로 폭행, 상해, 감금 등의 행위를 말한다. 대표행위 손이나 발 등 몸이나 도구를 사용해 때리거나 상처를 입히는 행위 원치 않는 수술이나 시술을 받게 하는 행위(낙태, 문신, 불임시술 등) 묶거나 가두거나 출입을 통제하는 행위 잠을 자지 못하게 하거나 똑바로 .. 2023. 7. 21.
발달장애인훈련센터 소개 개요 발달장애인훈련센터에서는 발달장애인의 특성에 따라 설계된 체계적인 직업훈련으로 취업을 지원하고, 직업 흥미와 적성을 발견할 수 있도록 현장감 있는 직업체험을 제공합니다. 교육 과정 직업훈련 발달장애인 개인별 특성에 따라 직무훈련 , 사회성 훈련 등을 실시하여 체계적인 직업훈련을 통한 성공적인 취업지원 발달장애인 훈련센터 특별과정에 대한 구분, 프로그램명, 대상자, 운영방법 정보제공구분직종대상자운영방법장애유형별 특화 훈련(지적·자폐성) 제조기술, 스마트사무행정, 서비스산업 15세 이상의 발달장애인 구직자 (고3, 전공과 졸업 예정 발달장애인 및 취업성공패키지 1단계 이수자도 가능) 1개월 ~ 6개월 특별과정 다양한 직업체험 및 진로교육을 통한 발달장애인의 직업 이해도 향상과 안정적인 직업생활지원 발달장.. 2023. 7. 20.
발달장애인 부모상담지원 사업 소개 -과중한 돌봄 부담을 가지고 있는 발달장애인 부모에게 집중적인 심리 · 정서적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여 우울감 등 부정적 심리상태를 완화시켜 궁극적으로 발달장애인 가족의 기능 향상을 도모함 신청자격 -「장애인복지법」상 지적ㆍ자폐성 장애인으로 등록된 자녀의 부모 및 보호자 -지적장애 또는 자폐성 장애를 부장애로 가진 경우도 포함 -발달장애인 자녀의 부모 동시 지원 가능 -기타요건 다만, 자녀가 영유아(만6세 미만)의 경우 장애등록이 되어있지 않은경우 발달장애(지적,자폐성)가 의심된다는 발달재활서비스 의뢰서 또는 최근 6개월이내 발행된 의사소견서(진단서)로 대체 가능 연령은 신청 일을 기준으로 판정하되 대상자로 선정된 후 사업기간 중 만6세 도래 시에는 만6세가 되는 달까지 지원 신청방법 신청자:서.. 2023. 7.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