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장애24 정신건강의 개념 (정신건강의 개념) 1. 정신건강의 일반적 정의 정신건강은 이상적인 상태를 말하는 목적론적인 개념, 정신위생은 정신건강을 목적으로 하는 수단 또는 실천론적인 개념이다. 정신건강이란 정신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상태의 예방 및 치료하는 소극적인 측면과 정신적으로 건강한 상태의 유지 및 증진이라는 적극적인 면을 모두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946년 제정된 유엔 세계보건기구(WHO)의 건강의 개념 건강이란 단지 질병에 걸리거나 허약하지 않은 상태만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히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상태 미국 정신위생위원회 정신건강이란 다만 정신적 질병에 걸려 있지 않은 상태만이 아니고 만족스러운 인간관계와 그것을 유지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정신건강이란 행복하고 만족하며 원하는.. 2023. 7. 7. 여성장애인의 성폭력 발생원인과 문제점, 현황 및 특성, 여성장애인 성폭력 예방대책 정책적 대안 Ⅰ. 서론 최근 장애인 성폭력 문제가 이슈화 되면서 우리 사회에서 여성장애인은 배제되고 소외된 약자로서 극심한 빈곤과 심각한 피해의 후유증을 동반하는 성폭력에 가장 크게 노출되어 있다. 사회에서 장애인에 대한 무시와 편견의 분위기 속에서 성폭력에 대한 인식과 대처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지적장애인은 그 피해의 양상이 한층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성폭력은 우리 사회가 가지고 있는 가장 추악한 범죄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성폭력 예방과 근절을 위한 그동안의 정책은 비장애여성을 중심으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최근 정부는 아동 청소년 성폭력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강력한 가해자 처벌수단을 내놓는 등 관심을 쏟고 있다. 하지만 여성장애인 성폭력사건은 무관심으로 일관하며 이에 대한 성폭력 피해자를 계속 양산하는 사.. 2023. 7. 7. 지적장애인의 성폭력피해의 특성과 피해 현황에 대해 지적장애인의 성폭력피해의 특성과 피해 현황에 대해 1. 지적 장애인의 신체발육과 성행동 개인은 심신 양면에 있어서 여러 발달단계를 거쳐 나간다. 특히 청소년기에서 성의 발달은 그 중심이 된다. 성의 발달은 처음에는 자기의 신체와 타인의 신체에 대한 탐색과 호기심으로 여러 사람과 접촉을 갖게 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정상적 발달과정은 정신지체아에게서도 반드시 볼 수 있다고 확신할 수는 없으나 사춘기의 신체변화는 대부분의 경도 정신지체아와 중도 정신지체아의 일부가 비장애인과 동일하며, 비장애인들이 겪는 정서적 혼란, 불안과 같은 심리적 변화와 신체 탐색행동을 일으킨다. 따라서 우리는 비정신지체인과 동일한 방식으로 정신지체인의 성적욕구충족에 접근해야 하며 정신지체인을 성적인 존재로 생각해야 한다. 많은 정.. 2023. 7. 7. 장애인 복지관 다녀옴~ 인권과 성교육~ 찾아가는 서비스~ 성인지 감수성 (이미지를 보고 감수성 익히기) 좋은 느낌 과 나쁜 느낌(내가 기분 나쁘고 싫은 느낌은? 무엇일까요? 싫은 느낌이 무엇인지 말해 보도록 한다. 내 몸은 나의 것이다. 성폭력이란 무엇일까요? (성폭력이 무엇인지 인형을 가지고 실행해 보고 이해하는지 이야기 나누어 본다) -PPT. 성교육 교구 -경계교육 동영상 -성에도 권리가 있다. 어떤 권리일까? (나의 권리 성적자기결정권을 알 수 있음) -일상에는 경계가 있다. 경계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다양한 곳에 경계가 존재하고 있음을 알게 하고 질의& 응답한다) -경계를 존중하지 않으면 어떤 처벌을 받을까요? 사람의 경계를 지키지 않으면 성폭력이 됨은 안다. -경계를 지키지 않으면 성폭력이 되는 유형의 성폭력 사례를 보고 교육생은 이해하고 궁금하면 질.. 2023. 7. 7.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