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애인취업4

장애인고용시설 자금 융자 사업목적장애인을 고용하였거나 고용하고자 하는 사업주에 대하여 장애인고용 관련 작업시설, 부대시설, 편의시설 등의 설치비용 융자를 이자차액 보전 방식으로 지원하여 장애인 신규고용 창출 및 고용안정을 도모 사업내용 지원대상 -장애인을 고용하여 사업을 운영하고 있거나 운영하고자 하는 사업주 지원내용 -장애인 1인당 1억원 이내 사업주당 15억 한도, 사업주는 은행 대출금리에서 이자보전 당 15억 한도, 사업주는 은행 대출금리에서 이자보전금리 5%를 제한 금리를 부담, 5년(2년 거치 3년 균등 분할상환)안 이자차액 보전 * 고용의무 장애인의 25%를 중증장애인으로 고용(최소 1인 이상) 융자금 용도 -작업시설, 편의시설, 부대시설의 설치, 구입, 수리비용 -통근용 승합자동차 구입비용 -생산라인 조정비용 한국장.. 2023. 7. 14.
장애인, 중증장애인지원고용 사업목적 중증장애인의 직무 수행 역량 제고 및 직장적응을 위해 훈련사업체에 직무지도원을 배치하여, 선 배치·훈련 후 고용하는 방식으로 사전 훈련(6일 이내)후 현장훈련(3~7주, 필요시 최대 6개월) 실시 사업내용지원대상 -15세 이상 중증장애인 지원내용 -훈련생에게는 훈련준비금 등 지원, 사업주에게는 보조금 지원 구분지원금액 훈련생 훈련준비금 40,000원/6일 이상 출석 시 일비 18,000원/1일 숙박비 10,000원/1박 사업주보조금 19,340원/1일 직무지도원 수당 외부 직무지도원: 최저임금 준용 내부 직무지도원(사업체 근로자): 1일 25,000원 -직무지도원 1명당 훈련생 5명 이내로 배치하되, 대상자의 장애정도, 특성, 사업체 사정 등을 고려하여 탄력 운영 -훈련생 취업 후, 적응지도가 .. 2023. 7. 13.
공공기관 142곳 5년간 장애인 한 명도 안뽑았다 공공기관 3곳 중 1곳 이상은 지난 5년간 장애인을 한 명도 채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공공기관의 절반은 5년간 고등학교 졸업생(고졸) 채용 실적이 전무했다. 채용 모범사례가 돼야 할 공공기관이 장애인 등 소수자 채용에서 소극적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다만 공공기관의 여성 채용 비율은 점차 상승세를 보이며 50% 선에 근접하고 있다. 11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 시스템인 알리오에 따르면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 동안 공공기관 370곳 중 38.4%인 142곳은 장애인을 한 명도 채용하지 않았다. 이는 세부 채용 현황이 있는 정규직(일반정규직) 신규채용 인원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지난 5년 동안 장애인을 단 1명 뽑은 곳도 58곳에 달했고, 이들 공공기관을 포함해 장애인 채용 인원이.. 2023. 7. 12.
장애인 채용 늘린다더니… 공기관 38% ‘0’[청년·장애인 비켜 간 고용시장 ‘훈풍’] 공공기관의 약 38%가 지난 5년간 장애인을 한 명도 채용하지 않은 것으로 11일 확인됐다. 고등학교 졸업생(고졸) 출신을 전혀 채용하지 않은 공공기관도 전체의 절반에 육박했다.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 시스템인 알리오 집계 결과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공공기관 370곳 중 38.4%인 142곳은 장애인을 정규직(일반정규직)으로 채용하지 않았다. 장애인을 단 1명 채용한 공공기관은 58곳, 이들을 포함해 1명 이상 10명 미만을 채용한 기관은 총 163곳으로 전체의 44.1%였다. 10명 이상 채용한 기관은 65곳으로 17.6%에 불과했다. 장애인을 가장 많이 채용한 기관은 한국도로공사의 자회사인 한국도로공사서비스로 5년간 1300명을 뽑았다. 다만 이 인원 중에는 정규직으로 전환된 비정규직 장애인이 포.. 2023. 7.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