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인격장애란 습관, 성격, 사고방식등이 사회적 기준이나 규범에서 벗어나 문제를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이는 불안, 대인관계에서의 부적응, 타인을 괴롭히는 경향, 자기 중심적인 인간관계등으로 나타난다.
인격장애는 특징적인 행동이 유사한 3가지로 유형을 분류하고 있다.
1. 별나거나 이상한 유형: 편집성, 분열형, 분열성 인격장애.
2. 극적이며 변덕스러운 유형: 반사회성, 경계성, 자기애성, 히스테리성 인격장애.
3.걱정하거나 회피하는 유형: 회피성, 의존성, 강박성 인격장애
이중 히스테리성 인격장애는 이기적이고 자기 중심적인 성향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또 극정인 표현을 하고 즉각적 만족과 관심을 요구하지만
그런 요구가 좌절되면 불괘하게 느끼고 히스테리를 부리는 성격장애를 가리킨다
이러한 성격으로 인해 지속적인 대인관계를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히스테리성 인격장애는 감정표현이 과장되고 주변의 시선을 받으려는 성격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원인
인격장애를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을 들 수 있다. 이는 쌍둥이 연구를 통해 일란성 쌍둥이에게서 보이는
인격장애의 일치율이, 이란성 싸움둥의 경우보다 3~4배 높다는 결과를 통해 추측할수 있다.
정신분석학자들은 인격장애 원인을 발달 단계중 어느 한 단계에 고착된 결과로 보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격장애는 불우한 가족관계에서 많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고, 어린이의 기질과 부모의
육아방식이 조화되지 않으면 문제가 생기기 쉽다.
증상
히스테리성 인격장애 환자들에게는 연극을 하는것과 같은 정서적 피상성, 성적 기능 장애,
의존성, 극적인 반응등을 나타낸다.
대표 증상으로는 광범위하고 지나친 정서성(정감성)과 관심ㅇ르 끄는 행동이 있다.
감정적으로 안정되어 있지 않고, 충동적이고, 유혹적이다. 이런 행동은 성인기 초기에 시작하여 여러상황에서 나타난다.
이들은 자신이 주목받지 못하면 불편을 느끼고 자신의 진가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고 느낀다.
또 활기차고 극적으로 행동하여 주목받고 싶어 한다. 타인의 관심을 끌지 못하면 관심을 끌기 위해 극적인 행동을 한다.
성적 대상과의 관계에 어려움을 느끼며 성적으로 문란한 경우가 많고 또한 관계에 만족하지도 못합니다.
히스테리성 인격장애는 주로 여성들에게 주로 나타나기 때문에 남성에게는 히스테리가 없는것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남성에게도 히스테리가 있으며 여성을 유혹하려고 하거나 과도하게 멋을 부리는 행동으로 히스테리 성향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진단
히스테리성 인격장애는 극적으로 과장된 감정 표현을 보인다.
이는 다음의 다섯가지 항목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1.자신이 다른 사람의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으면 불편해 한다
2.부적절한 성적 유혹이나 자극적인 방법으로 대인 관계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
3. 감정 기복이 심하거나 피상적인 감정표현을 한다
4. 다른 사람의 관심을 끌기 위해 외모에 신경을 쓴다.
5.아주 연극적이거나 인상적인 말을 하지만 구체적인 묘사를 하지는 못한다.
6. 과장된 감정 표현과 극적인 행동을 한다.
7. 다른 사람이라 환경 암시 등에 쉽게 영향을 받는다.
8. 본인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가 실제보다 더 긴밀하다고 생각한다.
치료
히스테리성 인격장애는 주로 대인 관계에 어려움을 느껴 치료받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장기간에
걸친 상담 치료가 이루어져야 한다. 상담 치료 시 환자의 감정을 구체화 시켜 해당 감정을 환자가
스스로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자신의 경험을 설명하도록 한다. 환자가 불안을 호소하면 항불안제를
우울증 증세를 보인다면 항우울제등의 약물을 사용할수 있다.
'장애인 복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공기관 142곳 5년간 장애인 한 명도 안뽑았다 (0) | 2023.07.12 |
---|---|
충주장애인성추행 잘못의 대가는 커 (0) | 2023.07.12 |
공황장애 (0) | 2023.07.11 |
정신건강의 개념 (0) | 2023.07.07 |
여성장애인의 성폭력 발생원인과 문제점, 현황 및 특성, 여성장애인 성폭력 예방대책 정책적 대안 (0) | 2023.07.07 |